페이지상단으로이동
신간 · 과월호 홈 / 매거진 / 신간 · 과월호
링크복사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글자확대
글자축소

No.282 인터뷰

통역사, 케어러, 부모의 딸, 그리고 부모의 부모 ― 코다코리아 장현정 (1)

2022.09.08


'농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청인 자녀, 코다(CODA, Children of Deaf Adults)는 아주 어릴 때부터 농인과 청인을 잇는 가교 역할을 부여받는다. 부모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위한 통역은 물론이고 부모가 아픈 경우 병원 동행, 간병, 집안일 역시 코다의 몫이 된다. 전적인 돌봄을 받는 시기부터 돌봄의 주체가 되어야 하는 코다는 그래서 최근 논의가 확장되고 있는 ‘영 케어러(가족 돌봄 청년)’와도 겹쳐 보인다. <돌봄의 기술자들> 세 번째 인터뷰이는 코다이자, 코다들이 결집한 단체 ‘코다코리아’ 소속 장현정 씨다. 장 씨는 이번 인터뷰를 통해 코다의 돌봄 과업, 일과 관계, 어려움과 즐거움에 대해 청인이 잘 알지 못했던 세계를 열어젖혀주었다. 과연 누군가의 인생은 한 면으로만 정의되지 않는다.'


먼저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저는 코다코리아 사무국에서 일하고 있는 장현정입니다. 전반적인 활동과 사업에 참여하고 있고 주로 담당하는 건 회계 분야입니다. 이전에는 금융사 고객센터에서 수어 상담을 했어요. 영상통화로 농인분들과 상담하는 일이죠. 제가 3~4년 전에 일을 시작했는데 금융사의 수어 상담사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예요.

코다코리아에는 어떻게 합류하게 되었어요?
이길보라 감독님의 영화 <반짝이는 박수 소리> 상영회를 통해 코다들을 처음 만나고 교류하게 되었어요. 그땐 회사에 다니고 있었는데 같이 단체를 설립해보자는 제안을 받았고 작년 정식으로 단체가 설립되면서부터 상근자로 합류했어요.

<우리는 코다입니다> 보면 코다라는 단어를 처음 알았을 소속감이 들었다.” 이야기가 자주 나와요. 그리고 <아빠의 아빠가 됐다> 조기현 작가로부터 케어러담론이 부상하면서 케어러라는 단어가 확산되었고요. 자신을 코다와 케어러라고 정체화한 과정은 어땠나요?
<반짝이는 박수 소리>를 통해 코다라는 단어를 처음 알게 됐어요. 그 전에는 ‘청각장애인 누구의 딸’ 이렇게 표현하곤 했는데 제가 스스로를 “코다입니다”라고 하자 단어로부터 소속감이 생겼어요. 중·고등학교 친구들이나 대학 친구들 중 어떤 커뮤니티 안에서도 코다라는 정체성 때문에 100% 소속됐다는 느낌은 받지 못했거든요. 그런데 코다 모임에 들어가고는 공통적인 경험을 나누면서 가족을 만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어릴 때부터 혼자 부딪혀왔던 사람들끼리 만나니까 편해요.(웃음)
영 케어러의 경우엔, 뉴스나 책을 통해 이 단어를 접하게 되었어요. 생각해보니 제가 코다로서 살아온 삶이 영 케어러와 다르지 않더라고요. 이 단어가 있기 전에는 딸이니까 효도로써 통역과 병원 동행을 하는 게 당연했어요. 집안의 내밀한 사정까지 알게 된다는 게 어려웠지만요. 빚이나 부모님 건강 상태를 초등학생, 중학생 때부터 알게 되니까 심리적으로 위축되었어요. 그래서 얼른 사회에 나가서 경제활동을 해야 하는 게 아닌가, 고민했죠. 물론 주변의 시선은 말할 것도 없고요.

복지 서비스나 도움이 만한 정보를 알려주는 주변의 커뮤니티나 단체는 없었어요?
없었어요. 알음알음 물어봐서 주민센터에 가서 알아본다든가, 사회복지사분들을 통해 알게 되는 것 외에는요. 대부분 친척들한테 도움을 구했어요. 사회복지사가 매칭되는 것도 어떤 소득 수준 이하여야 하는데 부모님이 일을 하고 계시면 수급자가 될 수 없었거든요. 이모 두 분도 농인이셔서 집안에 코다가 많았지만 다들 어리니까 사촌오빠, 사촌언니로서만 존재했지 코다나 농인의 사회적 커뮤니티는 없었죠.

부모님을 돌보고 빨리 경제활동을 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진로에 대해 고민하기 힘들었을 같아요.
부모님에겐 꿈이나 진로에 대해 잘 이야기하지 않았어요. 부모님 때문에 사회를 바꿀 수 있는 정치와 언론에 관심이 생겼고 진로를 그쪽으로 정하고 싶었는데 이게 쉽게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길은 아니잖아요. 결국 정치언론학과에 진학했는데요. 원서 쓸 때까지 말을 안 했어요.

언론을 전공하고 카드사에 입사하게 계기가 있어요?
취업이 쉽지 않아서 선택한 길이에요. 카드사 상담센터가 말하자면 콜센터잖아요. 가장 빠르게 많이 벌 수 있겠다 싶어서 입사했어요. 수어로 상담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고 보통 수어통역 자격증이 있는 분들은 통역 일을 하시니까 고객센터에서 일하진 않아요. 저는 자격증이 없지만 코다라서 수어를 할 줄 알고요. 코다인 게 장점이 되었죠.

많은 코다들이 어릴 때부터 부모님과 청인들의 말을 통역해야 한다는 어려움을 토로해요.
보통 통역이 필요할 때는 전문용어를 쓰거나 어려운 말을 할 때잖아요. 부모님에게 설명하기 위해 제가 한번 쉽게 풀어야 하는데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때는 이해할 수 없는 말들이 많았어요. 월세가 뭐고 전세가 뭔지…. 계속 공부해야 했어요. 전화도 제가 다 받아야 하고요. 늘 촉각을 곤두세워야 하고 예민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게 어려웠어요.

이 글은 '통역사, 케어러, 부모의 딸, 그리고 부모의 부모 ― 코다코리아 장현정 (2)'로 이어집니다.


글. 양수복
사진. 김슬기


1 2 3 4 5 6 7 

다른 매거진

No.320

2024.04.15 발매


데이브레이크

No.319

2024.05.01 발매


홍이삭

No.317

2024.03.01 발매


위라클 박위

< 이전 다음 >
빅이슈의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