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splash
2005년,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가 본격적으로 인기를 얻기 시작하자 인터넷의 절대 강자였던 구글은 유튜브와 유사한 구글 비디오를 런칭하고 대대적인 밀어주기에 나섰다. 구글 검색 상단부에 구글 비디오가 뜨도록 했고, 톱스타들을 기용해 구글 비디오에서만 볼 수 있는 영상을 촬영했다. 유튜브에는 개인이 올린 조악한 ‘짤’과 키우는 개와 고양이의 영상이 올라왔지만, 구글 비디오에는 구글이 직접 기획하고 톱스타들이 등장하는 영상이 올라왔다. 구글의 승리는 확실해 보였다. 누가 스타를 놔두고 일반인을 보겠어.
하지만 놀랍게도 구글 비디오는 실패했다. 사람들은 톱스타에 열광했지만, 그 영상만 보고 나서는 곧 유튜브로 돌아가 누군가의 동물 영상을 보며 잠이 들었다. 1년 후 구글은 구글 비디오를 포기하고 유튜브를 당시 최고가인 16억 5천만 달러(약 2조 원)에 사들였다. 하긴 구글이 실패한 건 아니다. 지금 유튜브의 위치와 가치를 생각하면 2조는 푼돈 중의 푼돈이니까.
바야흐로 유튜브의 시대다. 흔히 나이 든 사람은 페북을 하고, 나이 들었는데 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인스타를 하고, 힙해 보이고 싶은 이들은 틱톡을 하고, ‘아싸’이고 싶은 이들은 트위터를 한다고 한다. 하지만 당신이 무얼 하든 어쨌든 유튜브는 본다. 심지어 다른 온라인 소셜 활동은 일절 안 하는 나 같은 사람도 유튜브는 본다.
ⓒ unsplash
고백하자면 나는 초기 유튜브 영상에 매우 부정적이었다. 사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이 왜 유튜브를 보는지 잘 알지 못했다. 대부분이 아마추어들이 만든 영상이었고, 기획, 촬영, 조명, 음악, 편집 모든 것이 기존 영상들보다 뒤떨어졌다. 하지만 이런 내 평가와 별개로 승자는 유튜브였다. 이건 사태 파악을 못 한 나의 반성문이기도 하다. 유튜브의 영상은 여전히 조악하다. 최근에는 영상이 늘어나면서 퀄리티가 일부 좋아지긴 했지만, 기본적으로 개인 방송이고 메이저가 만든다고 해도 과거 프로덕션 작품들보다 참여 인력이 적기 때문에 아무래도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유튜브가 메이저 방송국이나 제작사를 능가할 수 있었던 건, 유튜브 영상에는 취향이 녹아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취향만 맞으면 퀄리티가 떨어지는 것쯤은 감수한다. 톱스타가 나오는 번듯한 영상보다 개인이 찍어 올린 동물 동영상을 사람들이 더 좋아했듯이 말이다. 이 당연한 사실을 나는 유튜브의 성공을 보고서야 이해했다. 이제는 메이저 제작사들이 오히려 유튜브에 달라붙는다. 그들은 적은 예산으로 사람들의 취향을 저격하는 영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유튜브의 취향 확대는 단순하지 않다. 단순히 축구 좋아하는 사람이 관련 영상을 보고 동물 좋아하는 이들이 관련 영상을 찾아보는 수준이 아니다. 이말년을 좋아하니 <침착맨>을 보고 아이유를 좋아한다고 <이지금>을 보는 식도 아니다. 일단 그건 당연한 거고 유튜브는 사람들의 없던 취향까지도 적극적으로 찾아낸다. 먹방이 대표적이다. 사실 이렇게까지 많은 사람들이 먹방을 볼 줄은 생각도 못 했다. 아마 많은 수의 먹방 구독자들은 10년 전까지만 해도 그런 게 있는지조차 몰랐을 것이고, 그게 콘텐츠가 된다는 생각도 못 했을 것이다.
ⓒ unsplash
이제 사람들은 커피숍에서 커피를 내리고 음식을 만드는 과정을 지켜본다. 타인의 게임 플레이를 관찰하고, 하루 종일 영상으로 불멍을 때리며, 고속도로를 달리며 뜨개질을 지켜본다. 남들이 목공을 하고 낚시를 하는 영상을 보고 ASMR을 들으며 잠이 든다. 그래도 여기까진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하지만 귀지를 파내고, 피지와 블랙헤드를 짜내고, 치아 스케일링 받는 영상을 즐겨 보는 이가 한두 명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나면 우리가 느끼는 즐거움이란 감정이 대체 뭔가 하는 존재론적인 의문까지 든다. 물론 남들이 그렇게 생각하거나 말거나 이런 장르(?)의 팬들은 밥을 먹으면서도 남의 피지를 짜내는 걸 본다.
유튜브가 없었으면 사람들이 절대로 보지 않았을 영상이고 취향이다. 대체 왜? 대체 왜 사람들은 이런 영상을 보는가? 모르겠다. 하지만 근원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 속에는 새로운 무언가가 있다. 이것이야말로 메이저가 절대 흉내 낼 수 없는 유튜브의 영역이다.
이 글은 '그걸 왜 봐? ― 이상한 취향의 발견 (2)'로 이어집니다.
글. 오후
비정규 작가. 세상 모든 게 궁금하지만 대부분은 방구석에 앉아 콘텐츠를 소비하며 시간을 보낸다. <가장 사적인 연애사> <나는 농담으로 과학을 말한다> 등 여섯 권의 책을 썼고 몇몇 잡지에 글을 기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