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신간 · 과월호 홈 / 매거진 / 신간 · 과월호
링크복사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글자확대
글자축소

No.288 컬쳐

사라지는 풍경, 던져야 할 질문들 (2)

2022.12.14


이 글은 '사라지는 풍경, 던져야 할 질문들 (1)'에서 이어집니다.

아현동, ‘철거풍경’을 기록하다

아현동을 마주한 것은 우연이었지만, 운이 좋았다. 1년 2개월이라는 기간 동안 ‘아현동 662번지 일대’라는 동네가 어떻게 사라지게 되는지를 지켜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정말 감쪽같았다. 처음부터 아무것도 없었던 것처럼 건물이 철거되고, 계단과 길이 사라졌다. 행정적으로 부여된 주소도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그래도 ‘길은 남겠지’라는 나의 예상과는 달리 모든 것이 지워져버렸다. 마지막은 늘 모래언덕이었다. 태초의 자연으로 돌아간 것처럼 말이다. 다양한 사연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동네를 이루고, 어떻게든 함께 살아가야 하는 곳이기에 나름 오랜 시간 쌓아온 질서가 존재한다. 물리적 공간, 자연, 생물, 길고양이, 사람,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행위, 관계 등 이 모든 것이 어찌 보면 하나의 생태계라고 볼 수 있다. 일명 동네 생태계다. 이런 거대한 생태계가 형성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며 안정적인 질서가 잡힌다.

사람이 살지 않던 곳에 집을 짓고, 한 채 두 채 생겨난 것들이 동네를 이룬다. 오고 가는 길 위에는 필요한 생필품을 팔고, 먹거리를 즐길 수 있는 시장을 비롯한 작지만 다양한 가게들이 생겨난다. 집 마당에는 나무도 심고, 어디선가 날아온 씨앗이 싹을 틔우면서 동네 여기저기마다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 아이들이 동네에서 놀 수 있도록 놀이터도 만든다. 이러한 모든 과정은 시간을 두고 차곡차곡 쌓이는 것인데 한순간에 모래 한 줌이 되어버린 것이다. 시대가 변하면서 자연스럽게 도시의 공간 구성이 변화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 하지만 변화의 과정에서 ‘대안’ 혹은 ‘보완’이라는 것은 없는 것일까? 그 변화에 있어서 유별나다 싶을 정도로 급하게 진행되는 것이 현재 대한민국 도시의 변화 속도다. 모든 것이 한꺼번에 사라지고, 한꺼번에 생겨난다. 과거에 존재하던 것들이 미처 마음의 준비도 못 하고 혹은 제대로 무언가를 전달받지 못한 채로 말 그대로 쫓겨나듯이 급하게 떠나간다. 사람들은 이러한 상황조차 알지 못한 채 수도 없이 스쳐 가고 사라진다. 이러한 상황은 과거의 어떤 특정 시대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나아지는 것이 아니라 반복되고 있다. 시대는 변했는데 과정은 왜 변하지 않는 것일까? 매번 문제를 제기하고는 있지만,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다. 아니 나아질 기미가 안 보인다는 것이 더 맞는 말 같다. 도대체 왜 그런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그 어떤 답을 내리지 못한 채로 4년이 흘렀다.

<철거풍경> 그 이후, 함께 생각해볼 질문을 공유하기

모든 것이 철거되고 모래언덕이 된 곳에서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원래 나의 계획은 철거 완료 시점까지만 기록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아현동 662번지뿐만 아니라 인근에도 변화가 지속해서 진행되고 있었기 때문에 멈추지 않고 기록해볼 필요가 있었다. 그렇게 종종 현장을 찾아 변해가는 풍경을 지켜보았다. 그러는 동안에도 공사는 계속되었고 4년 전과는 다른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었다. 아현동 인근에서 가장 큰 시장 중 하나였던 아현시장은 점점 규모가 축소되고, 찾는 사람들의 발길도 줄어들었다. 시장 내에 있는 가게 업종도 바뀌었고, 전에 비해 많은 수의 학원이 생겨났다. 유명한 카페가 생겼다. 오래된 슈퍼가 사라졌다. 거칠고 딱딱한 돌로 되어 있던 언덕길은 아스팔트로 정비되었다.

하나, 둘 이야기하자면 끝도 없다. 기존과는 다른 성격의 조직으로 구성된 동네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동네였다. 과거는 과거로만 남았다. 현재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아직 남아 그 흔적을 남기고 있기도 하지만 그 또한 언제 사라질지는 미지수다. 동네는 계속 변해가고 있지만, 남겨진 의문들은 숙제로 남아 있다. 재개발 과정에서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이 사라지기 전에 그 풍경을 담아내는 것을 목표로 현장을 오고 갔으니 말이다. 여전히 존재하는 의문에 대해서는 더 많은 사람과 함께 생각해볼 거리로 남겨두고 싶다. 그 어디에도 답은 없지만, 우리가 살면서 한 번쯤은 스스로에게, 혹은 어떤 상황에서 질문을 던져볼 때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금 당장 답을 내리지 못할지언정 누군가 나의 질문에 응해줄 것을 기대하며 함께 생각해볼 질문을 이곳에 공유한다.

"사라진 과거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그 과정에서 발생했던 문제를 보고도 그냥 지나쳐야 하는 것일까?
이미 사라져버린 동네는 과거로만 남겨질 수 있겠지만 그 문제에 직면했던 당사자의 시간은
현재까지도 이어져올 것이다. 이러한 부분은 어떻게 짚어볼 수 있을까?
그들에게는 어떤 말을 해줄 수 있을까?
재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반복하지 않을 수는 없는 것일까?
해결책은 없을까? 권력과 자본 앞에서 한없이 작아지고, 일방적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개인은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까? 사회구조 안에서 보호받을 방법은 없는 것일까?"

* 지난 호 ‘서울수집’에 소개된 인스타그램 주소 ‘@apt_banpo’를 ‘@_moment0fmemory’로 정정합니다. 독자분들께 착오를 드려 죄송합니다.


글 | 사진. 이경민
SNS ‘서울수집’ 계정 운영자 & 도시답사 및 기록가.


1 2 3 4 5 

다른 매거진

No.328B

2027.05.02 발매


사주 보는 사람들, 셀프 캐릭터 해석의 시대

《빅이슈》 328호 사주 보는 사람들, 셀프 캐릭터 해석의 시대

No.328A

2022.12.02 발매


사주 보는 사람들, 셀프 캐릭터 해석의 시대

《빅이슈》328호 사주 보는 사람들, 셀프 캐릭터 해석의 시대

No.327

2024.09.02 발매


결심했다, 소비와 멀어지기로

빅이슈 327호 결심했다, 소비와 멀어지기로

No.326

2024.08.01 발매


다시 책으로: 텍스트힙의 흐름

빅이슈 326호 다시 책으로: 텍스트힙의 흐름

< 이전 다음 >
빅이슈의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